맨위로가기

대역폭 (컴퓨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역폭은 네트워크 용량, 최대 데이터 전송률, 채널 용량 등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네트워크의 최대 처리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섀넌-하틀리 정리에 의해 제한된다. 소비 대역폭은 달성된 처리량 또는 유효 처리량에 해당하며, 대역폭 조정 등의 기술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점근적 대역폭은 네트워크를 통한 최대 처리량을 나타내며, 멀티미디어 대역폭은 데이터 압축 후의 평균 비트 전송률을 의미하기도 한다. 에드홀름의 법칙은 통신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18개월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법칙이며, MOSFET 기술 발전에 기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성능 - 대기행렬이론
    대기행렬 이론은 1909년 에를랑에 의해 연구된 수학 이론으로, 서버, 대기실, 고객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분석하며, 켄달의 표기법을 사용하여 대기열 모델의 특징을 나타내고,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시스템 성능 분석 및 최적화에 활용된다.
  • 네트워크 성능 - QoS
    QoS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서비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거나 성능을 보장하는 기능으로, 응답 시간, 데이터 손실, 지연 등을 제어하여 실시간성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정보 이론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정보 이론 - 정보 엔트로피
    정보 엔트로피는 확률 변수의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건 발생 가능성이 낮을수록 정보량이 커진다는 원리에 기반하며, 데이터 압축, 생물다양성 측정, 암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대역폭 (컴퓨팅)
개요
종류데이터 전송률
단위초당 비트 수 (bit/s)
관련 항목처리량
좋은풋
지연 시간
네트워크 대기 시간
대역폭 (신호 처리)
주파수 대역폭
디지털 대역폭
광대역
대역폭 관리
대역폭 테스트
대역폭 할당
설명
정의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채널의 대역폭은 주어진 연결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나타낸다.
측정일반적으로 초당 비트 (bit/s) 단위로 측정된다.
중요성네트워크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대역폭이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활용
용도파일 다운로드 속도
비디오 스트리밍 품질
웹 페이지 로딩 시간
온라인 게임 반응 속도
예시"100 Mbps 대역폭"은 초당 최대 100 메가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적 측면
요인네트워크 장비 성능
네트워크 토폴로지
프로토콜
간섭
개선 방법고성능 네트워크 장비 사용
네트워크 최적화
QoS (Quality of Service) 설정
대역폭 관리 도구 사용
기타
참고대역폭은 신호 처리에서도 중요한 개념이며, 신호가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2. 네트워크 용량

다음은 일반 인터넷 접속 기술의 최대 대역폭을 나타낸 표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장치 대역폭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대역폭기술
56 kbit/s모뎀 / 다이얼업
1.5 Mbit/sADSL 라이트
1.544 Mbit/sT1/DS1
2.048 Mbit/sE1 / E-carrier
4 Mbit/sADSL1
10 Mbit/s이더넷
11 Mbit/s무선 802.11b
24 Mbit/sADSL2+
44.736 Mbit/sT3/DS3
54 Mbit/s무선 802.11g
100 Mbit/s고속 이더넷
155 Mbit/sOC3
600 Mbit/s무선 802.11n
622 Mbit/sOC12
1 Gbit/s기가비트 이더넷
1.3 Gbit/s무선 802.11ac
2.5 Gbit/sOC48
5 Gbit/sSuperSpeed USB
7 Gbit/s무선 802.11ad
9.6 Gbit/sOC192
10 Gbit/s10기가비트 이더넷, SuperSpeed USB 10 Gbit/s
20 Gbit/sSuperSpeed USB 20 Gbit/s
40 Gbit/s선더볼트 3
100 Gbit/s100기가비트 이더넷



"대역폭"이라는 용어는 순 데이터 전송률(net bit rate), "최대 비트 전송률"(peak bit rate), "정보 전송률"(information rate), 물리 계층의 "유효 비트 전송률"(useful bit rate), 채널 용량 또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적 또는 물리적 통신 경로의 최대 처리량을 정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역폭 테스트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최대 처리량을 측정한다. 링크에서 지속될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섀넌-하틀리 정리 채널 용량에 의해 제한되며, 이는 헤르츠 단위의 대역폭과 채널의 잡음에 따라 달라진다.

3. 네트워크 소비

초당 비트(bit/s) 단위의 '소비 대역폭'은 달성된 처리량 또는 유효 처리량(goodput), 즉 통신 경로를 통한 성공적인 데이터 전송의 평균 속도에 해당한다. 소비 대역폭은 대역폭 조정, 대역폭 관리, 대역폭 제한, 대역폭 상한, 대역폭 할당(예: 대역폭 할당 프로토콜, 동적 대역폭 할당) 등의 기술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의 대역폭은 연구된 시간 간격 동안 평균 소비 신호 대역폭(비트 스트림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의 평균 스펙트럼 대역폭) 헤르츠(Hz)에 비례한다.

'채널 대역폭'은 유용한 데이터 처리량(또는 유효 처리량)과 혼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bit/s의 채널이 반드시 ''x''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아닌데, 프로토콜, 암호화 및 기타 요소가 상당한 오버헤드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많은 인터넷 트래픽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을 사용하며, 이는 각 트랜잭션에 대해 쓰리웨이 핸드셰이크를 필요로 한다. 많은 최신 구현에서 프로토콜은 효율적이지만, 더 단순한 프로토콜에 비해 상당한 오버헤드를 추가한다. 또한 데이터 패킷이 손실될 수 있으며, 이는 유용한 데이터 처리량을 더욱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디지털 통신에는 프레이밍 프로토콜이 필요하며, 오버헤드 및 효과적인 처리량은 구현에 따라 달라진다. 유용한 처리량은 실제 채널 용량에서 구현 오버헤드를 뺀 값 이하이다.

4. 최대 처리량 (점근적 대역폭)

아래의 표는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기술의 최대 대역폭을 나타낸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장치 대역폭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최대 대역폭기술
모뎀 / 다이얼업
ADSL 라이트
T1/DS1
E1 / E-carrier
ADSL1
이더넷
무선 802.11b
ADSL2+
T3/DS3
무선 802.11g
고속 이더넷
OC3
무선 802.11n
OC12
1G기가비트 이더넷
1.3G무선 802.11ac
2.5GOC48
5GSuperSpeed USB
7G무선 802.11ad
9.6GOC192
10G10기가비트 이더넷, SuperSpeed USB 10 Gbit/s
20GSuperSpeed USB 20 Gbit/s
40G선더볼트 3
100G100 기가비트 이더넷



네트워크의 점근적 대역폭(정식 명칭은 '점근적 처리량')은 메시지 크기가 최대량에 가까워질 때, 탐욕적 소스에 대한 최대 처리량을 측정한 것이다.[5] 점근적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개의 매우 큰 메시지를 전송하고 종단 간 처리량을 측정하여 추정한다. 다른 대역폭과 마찬가지로 점근적 대역폭은 초당 비트의 배수로 측정된다. 대역폭 스파이크가 측정값을 왜곡할 수 있으므로 통신 사업자는 종종 95번째 퍼센타일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대역폭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한 다음 상위 5%를 제거한다.[6]

5. 멀티미디어 대역폭

디지털 대역폭은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비트 전송률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소스 부호화) 후의 평균 비트 전송률을 가리킬 수 있으며, 총 데이터량을 재생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비압축 디지털 미디어의 비현실적으로 높은 대역폭 요구 사항 때문에 데이터 압축을 통해 필요한 멀티미디어 대역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7] 미디어 대역폭 감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압축 기술은 이산 코사인 변환(DCT)이며, 이는 1970년대 초 나시르 아메드가 처음 제안했다.[8] DCT 압축은 디지털 신호에 필요한 메모리와 대역폭을 크게 줄여 비압축 미디어에 비해 최대 100:1의 데이터 압축률을 달성할 수 있다.[9]

6. 웹 호스팅 및 인터넷 연결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대역폭"이라는 용어는 특정 기간, 주로 월 단위로 웹사이트나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데 종종 잘못 사용된다.[10] 이는 월별 누적 대역폭 소모량을 기가바이트(GB) 단위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정확한 표현은 "월별 데이터 전송량"이다.

최종 사용자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도 네트워크 용량이 제한적인 경우, 예를 들어 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이나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6. 1. 인터넷 연결 기술

다음 표는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기술의 최대 대역폭을 보여준다. 자세한 내용은 장치 대역폭 목록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기술의 최대 물리 계층 순수 대역폭
비트 전송률접속 방식
전화 접속
ADSL 라이트
T1/DS1
E1 / E-캐리어
ADSL1
이더넷
무선 802.11b
ADSL2+
T3/DS3
무선 802.11g
패스트 이더넷
OC3
무선 802.11n
OC12
1G기가비트 이더넷
1.3G무선 802.11ac
2.5GOC48
5GSuperSpeed USB
7G무선 802.11ad
9.6GOC192
10G10 기가비트 이더넷, SuperSpeed USB 10 Gbit/s
20GSuperSpeed USB 20 Gbit/s
40G썬더볼트 3
100G100 기가비트 이더넷


7. 에드홀름의 법칙

에드홀름의 법칙[11]은 필 에드홀름(Phil Edholm)이 2004년에 제안한 법칙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18개월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1970년대 이후로 사실로 증명되었다.[11][12] 이러한 추세는 인터넷[11], 이동통신(휴대폰),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무선 개인 근거리 통신망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12]

MOSFET(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대역폭의 급격한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13] MOSFET(MOS 트랜지스터)는 1959년 벨 연구소의 모하메드 아탈라(Mohamed M. Atalla)와 다원 칸(Dawon Kahng)에 의해 발명되었고,[14][15][16] 현대 통신 기술의 기본 구성 요소가 되었다.[17][18] 지속적인 MOSFET 축소와 MOS 기술의 다양한 발전은 무어의 법칙(집적 회로 칩의 트랜지스터 수가 2년마다 두 배로 증가함)과 에드홀름의 법칙(통신 대역폭이 18개월마다 두 배로 증가함)을 모두 가능하게 했다.[13]

참조

[1] 서적 Computer Networks and Internet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2] 서적 Introduction to data communications and computer networks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3] 서적 Cisco Networking Academy Program: CCNA 1 and 2 companion guide, Volym 1–2 https://books.google[...] Cisco Academy
[4] 서적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McGraw-Hill
[5] 논문 Advances in Grid and Pervasive Computing: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GPC 2006 Springer
[6] 웹사이트 What is Bandwidth? - Definition and Details https://www.paessler[...] 2019-04-18
[7] 서적 Scalable Continuous Media Streaming Systems: Architecture, Desig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8] 학술지 Reminiscences of the Early Work in DCT: Interview with K.R. Rao http://ticsp.cs.tut.[...] 2019-10-13
[9] 간행물 Video on demand: Research Paper 94/68 https://web.archiv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9-09-20
[10] 웹사이트 How Much Hosting Bandwidth Do I Need For My Website? https://www.webhosti[...] 2022-03-27
[11] 학술지 Edholm's law of bandwidth
[12] 서적 Time Multiplexed Beam-Forming with Space-Frequency Transformation Springer
[13] 논문 2009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Electron Devices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14] 웹사이트 1960 -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Transistor Demonstrated https://www.computer[...] Computer History Museum
[15]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Transistor? https://www.computer[...] 2019-07-20
[17] 웹사이트 Triumph of the MOS Transistor https://www.youtube.[...] Computer History Museum 2019-07-21
[18] 서적 The Silicon Web: Physics for the Internet Age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 서적 Computer Networks and Internet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20] 서적 Introduction to data communications and computer networks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21] 서적 Cisco Networking Academy Program: CCNA 1 and 2 companion guide, Volym 1–2 https://books.google[...] Cisco Academy
[22] 서적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McGraw-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